로고

BIFF Movie Reviews

BIFF 영화 리뷰

영화의 편집이 좋고 이지수의 음악도 극에 몰입감을 더한다. 이번 상영의 가장 큰 문제는 영화가 반으로 잘려 첫 3개의 에피소드만 상영되었다는 사실이다. 관객들을 몰입시키고 등장 인물들이 그곳에서 탈출하는 모습을 보고 싶게 만들었으니, 일부분만 상영된 것은 실망스러운 일이었다.

BIFF Movie Reviews


BIFF 영화 리뷰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eturned this year to its full glory after two years of reduced seating and limited screenings. In its 27th iteration, BIFF brought film makers from all over the world to screen their films at various locations around Busan. Here are reviews of three of them.

 

지난 2 축소된 좌석 수와 제한된 상영관으로 열렸던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에는 예전의 영광을 온전히 되찾았다. 올해로 27회를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에는 세계 영화제작자들이 부산 여러 장소에서 자신의 영화를 선보이기 위해 참가했다. 작품의 감상을 나눠볼까 한다.

 

No End(노 엔드)



As someone once said show me how you deal with setbacks and I will know your measure. ‘No End’ takes a look at an oppressive government intent on keeping its people “safe” through the use of a secret police and how once entangled in their web it becomes impossible to leave. If watching someone’s endless frustration were a movie, this would be a perfect example.


어떻게 난관을 헤쳐나가는지를 보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다고 했다. ‘노 엔드’는 국민을 “안전하게” 지켜준다며 비밀경찰을 운용하는 억압적인 정부, 그리고 한 번 그들의 감시망에 잡히면 벗어나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에 시선을 둔다. 누군가의 끝없는 좌절을 보는 것이 영화라면, 이 작품은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한 예시일 것이다. 

 

Telling the tale of Ayaz (Vahid Mobasseri), an ordinary bureaucrat working in the permitting department who is as honest as they come (even refusing bribes that others willing take), ‘No End’ takes a deep look at how out of control life can become when dealing with those in power who have no problem flouting the law they proport to keep. Thins Start with the news that his brother-in-law, who fled the country 30 years before due to being a political activist, is coming back. Ayaz is worried because the house belongs to his brother-in-law, and fearing losing his home, Ayaz tries to delay his brother-in-law’s return by staging a raid by security officers.

 

건축허가 부서에서 일하는 더없이 정직하고(다른 사람들이라면 받았을 뇌물도 거절하는) 평범한 공무원 아야즈(Vahid Mobasseri)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노 엔드’는 법을 어기는 것에 개의치 않는 권력에 대항할 때 통제에서 벗어난 삶이 어떻게 변해갈 수 있는지 자세히 들여다본다. 영화는 30년 전 반정부 운동가로서 도피한 처남에 대한 소식으로 시작한다. 처남의 명의로 된 집에 살고 있는 아야즈는 행여나 집을 잃게 될까 두려운 나머지 비밀경찰의 급습을 빌미로 처남의 귀국을 늦추려고 한다.


His plan works too well causing his mother-in-law to protest the raid and causing security officers to question Ayaz. Ayaz’s case worker, Hadi (Shahin Kazemi Najad) plays him like a fiddle, telling him that the case can only be closed if he tells him the whole truth, which opens another can of worms that Ayaz cannot escape from.


아야즈의 계획은 너무 잘 들어맞는 바람에 장모까지 급습에 맞서고, 비밀경찰들은 오히려 아야즈를 의심하게 된다. 아야즈의 사건을 담당한 하디(Shahin Kazemi Najad)는 사기꾼처럼 아야즈를 가지고 논다. 그는 아야즈가 모든 진실을 털어놓으면 이 사건이 종결될 것이라고 말하며 탈출할 수 없는 벌레구덩이로 그를 또 한 번 밀어 넣는다.


Mobasseri’s Ayaz is well written and demonstrates the actors range. From sniveling coward to bravery in defeat, Mobasseri gives an exceptional performance that brings depth to the character. Perhaps the best, and most unnerving performance was from Najad’s Hadi, who was simultaneously gently reassuring and threatening. Performances by Fahime Jahani and Narjes Delaram provide an adequate support as Ayaz’s wife and mother-in-law.


배우 모바세리(Mobasseri)가 연기하는 아야즈는 배우의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잘 쓰인 캐릭터다. 울먹이는 겁쟁이부터 이기겠다는 용기까지, 모바세리는 인물의 깊은 곳까지 표현하는 훌륭한 연기를 보여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멋지고 불안함을 잘 표현한 연가는 나자드(Najad)가 연기한 하디일 것이다. 하디는 부드러운 동시에 위협적인 인물이다. 파힘 자하니(Fahime Jahani)와 나예즈 딜라람(Narjes Delaram)의 연기는 아야즈의 아내와 장모 역할로 딱 맞는 연기를 보여준다.


The writer-director Nader Saeivar has some deep insights into the way the security services operate in his country. Perhaps it is a direct result of Jafar Panahi (director of the film ‘3 Faces’, which Saeivar co-wrote) who was sentenced to six years in prison for political activism. The film itself is a subtle reminder of the cruelties that humanity is capable of and the long memory of authoritarian regimes. The pacing of the film could be tighter and dispense with some material while the ending of the film was easily deduced early on in the film. Still, it is a poignant film for those wan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Iranian government operates.


작가 겸 감독인 나데르 사에이바르(Nader Saeivar)는 자국에서 이루어지는 보안 서비스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갖고 있다. 이는 아마도 정치 운동으로 6년형을 선고 받았던 자파르 파나히(Jafar Panahi, 사이바르 감독과 공동집힐한 영화 ‘세 개의 얼굴’ 감독)이 낳은 직접적인 결과일 것이다. 영화 자체는 인간이 마주할 수 있는 잔혹함과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기억을 미묘하게 상기시킨다. 영화의 속도감이 더 팽팽해지고 결말이 영화 초반에 쉽게 추론되는 만큼 몇몇 내용을 삭제해도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이란 정부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관객의 가슴에 저미는 영화이다.


Directed by Nader Saeivar, ‘No End’ is the second feature film by the Iranian director hailing from Tabriz.


나데르 사에이바르 감독의 ‘노 엔드’는 이란 타브리즈에서 두 번째로 선보이는 영화이다.


A Room of My Own(자기만의 방) 



Grief is something that happens to everyone. ‘A Room of My Own’ takes a deep dive in what it takes to recover from deep loss. 


슬픔은 누구나 겪는 일이다. ‘자기만의 방’은 깊은 상실에서 다시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심도 있게 다룬다. 


‘A Room of My Own’ revolves around Tina (Taki Mumladze) who is returning to the Georgian capital Tbilisi to wait for her boyfriend to move in together. Before his return she rents a room from Megi (Mariam Khundadze), an enigmatic character who loves to party and wants nothing more than to leave the country. After informing Megi she only plans to stay for a month, Megi demands the rent payment or Tina needs to be out, the movie reveals that Tina’s life is far deeper and intriguing than her reserved demeaner lets on. After a week she reunites with her boyfriend Beka (Giorgi Tsereteli) only to find out that they cannot move in together. We are given hints that something awful happened between them and Tina’s ex-husband. The joyful reunion ends with the couple parting ways and a distraught Tina returning to the flat. Further hints of a dark past are presented when Tina calls her mother only to be told that her call isn’t welcome, and neither is she.


‘자기만의 방’은 남자친구와 함께 살기 위해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로 돌아온 티나(Taki Mumladze)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남자친구가 돌아오기 전, 티나는 파티를 좋아하며, 이 나라를 떠나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원하지 않는 수수께끼의 인물 메기(Mariam Khundadze)에게서 방을 빌린다. 메기에게 딱 한 달만 머물 것이라고 알린 뒤 메기는 티나에게 집세를 내든 집을 나가든 선택하라고 요구하며, 영화는 티나의 삶이 티나의 침착한 태도가 허용하는 범위보다 훨씬 더 깊고 흥미롭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주일 뒤 티나는 남자친구 베카(Giorgi Tsereteli)와 재회하지만 얼마 안 가 두 사람이 함께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두 사람과 티나의 전 남편 사이에 무언가 끔찍한 일이 일어났음을 눈치챌 수 있도록 힌트를 준다. 즐거운 재회는 커플의 이별, 그리고 심란해진 티나가 방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끝난다. 티나가 어머니와 통화를 하고 티나의 전화든 티나 자신이든 환영하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을 때, 영화는 어두운 과거에 대해 더 많은 힌트를 준다. 


‘A Room of My Own’ is superbly acted with Mumladze’s Tina coming off as understatedly neurotic which helps bring light to Tina’s trauma. Khundadze’s Megi does an excellent job of being a joyful breath of fresh air to Tina’s stale and sour nature. Rounding out the cast are Lasha Gabunia and Sophio Zeragia who bring levity that would otherwise be missing.


‘자기만의 방’은 티나의 트라우마를 조명할 수 있도록 도와준 배우 Mumladze의 절제된 신경증적 연기로 훌륭하게 표현되었다. Khundadze의 메기는 맥없고 시큰둥한 티나의 성격에 신선한 공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멋지게 소화했다. Lasha Gabunia와 Sophio Zeragia는 자칫 놓칠 뻔한 경쾌함을 가져다 준다.  


The screenplay, co-written by director Ioseb "Soso" Blaidze and main actress Taki Mumladze does a strong job of showing one possible way to overcome the grief that life can pile on us, whether it comes from broken friendships, lost relationships or familial estrangement. The direction by Blaidze shows his ability to coach actors through the depths of emotions.


공동각본가로서 감독 이세브 소소 블리아제(Ioseb "Soso" Blaidze)와 배우 타키(Taki Mumladze)가 함께 쓴 이 각본은 단절된 우정, 잃어버린 인간 관계, 소원한 가족 관계 등으로 겪게 되는 삶의 슬픔들을 극복하는 한 가지 방법을 보여준다. 블리아제 감독은 배우들이 감정의 깊이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연출 능력을 갖추고 있다.


Where ‘A Room of My Own’ loses its way is that the film is promoted as two women finding comfort in each other and at the place they call home. In this assertion the film falls flat. Any romance portrayed between the two actors comes across as contrived. The themes of healing through their relationship could have been fully explored by magnifying their attraction to each other instead of the quick seduction that seemed to come out of nowhere and greatly diminished what was an otherwise fantastic film.


‘자기만의 방’은 두 명의 여성이 서로에게서, 그리고 서로가 집이라고 부르는 공간에서 위안을 찾는 것을 장려한다는 점에서 길을 잃는다. 이 과정에서 영화는 무너진다. 두 배우 사이에서 묘사되는 로맨스는 모두 인위적으로 보인다. 둘의 관계를 통한 치유라는 주제는 개연성 없이 전개되는 급작스러운 유혹이 아니라 서로의 매력을 극대화하고 충분히 탐색함으로써 환상적인 영화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Bargain(몸값)  

An entertaining thriller with no deeper meaning.

Film festival moves have a reputation of being thought provoking if nothing else. ‘Bargain’ is an exception to this idea.


깊은 의미는 없는 흥미로운 스릴러.

영화제는 다른 건 몰라도 생각을 하게 만드는 점에서 명성을 얻었다. 다만 ‘몸값’은 예외적이다. 


Set in the countryside town of Gapyeong the movie revolves around a motel that is hit by a landslide after an earthquake and the attempts to escape the building. The characters each have a shady backstory that is hinted at in the beginning when Hyungsoo (Sun-kyu Jin) arrives for a paid tryst with Jooyoung (Jong-seo Jun) an alleged 17-year-old high school virgin who is wanting to sell her first time for a million won. Things are not what they seem when it is revealed that the hotel is far more connected to a criminal underground and Jooyoung is a far more sinister woman than initially appearing. Hyungsoo also is hiding a secret, having come to the hotel to investigate an illegal prostitution ring. After a major twist, the hotel is knocked off its foundation by a landslide and the pair find themselves in the basement of the hotel knowing that every floor is occupied by lowlife thugs who are willing and able to do unspeakable things. 


가평의 시골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지진 이후 산사태로 무너진 모텔과 여기에서 탈출하려는 노력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각각의 인물은 어두운 서사를 품고 있는데, 이는 영화 초반 형수(진선규)가 백 만원에 처녀를 팔고자 하는 17세 고등학생 소녀 주영(전종서)와의 조건 만남을 위해 도착한 순간에 드러난다. 이 호텔이 처음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지하 범죄와 깊은 관련이 있고 주영이 훨씬 더 사악한 여성이라는 것이 드러날 때,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게 된다. 형수 또한 불법 성매매 알선을 조사하기 위해 호텔에 왔다는 비밀을 감춘 인물이다. 주요 반전이 드러난 이후, 호텔은 산사태로 무너지고 지하로 떨어진 두 사람은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일들을 행하는 무뢰배들로 모든 층이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The film is fast paced once the earthquake hits. It spends an uncomfortable amount of time focusing on the “transaction” in the opening scene. Shot using a one take shot style that was popularized in the movie ‘1917’, the film’s drab background sets an eerie tone to the move. The technical side of the technique is not a seamless as it could be with oddly mechanical camera movements giving away the use of computerized equipment that was at times poorly programed. 

 

영화는 지진 발생과 함께 빠르게 전개된다. 오프닝 장면에서는 “거래”에 집중하는 불편한 시간을 쓴다. 영화 ‘1917’로 유명해진 원테이크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영화의 어두운 배경은 섬뜩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기술적 측면을 얘기하자면, 때로 제대로 프로그램 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 장비로 특이한 기계 카메라 움직임을 보여주며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있다. 

 

The performance by Jun Jong-seo was brilliantly understated, showing both the passible girlish charm of a high school student as well as the character’s more sinister nature when she is allowed to drop the act. Jin Sun-kyo does a passable job at his role providing levity as he attempts to escape the motel wearing only his underwear. He goes too over the top in his reactions which takes away from the drama that is occurring. The character of Geukryeol, the “good son”, (Ryul Chang) is annoyingly one dimensional, something that writers Woo-sung Jeon, Byeong-yun Choi, Jae-min Kwak should have spent more time to craft. Given what he had to work with, Ryul Chang does a fairly impressive job making his character as oblivious to the situation as possible to such an extent that the audience is glad to see him thrown back down into the basement.


전종서는 놀라울 만큼 절제된 연기로 감수성 넘치는 여고생의 매력은 물론, 학생의 역할을 내려놓아야 할 때는 더욱 사악한 면모를 잘 보여주었다. 진선규는 달랑 속옷 한 장만 입고 호텔을 탈출하려는 장면을 통해 인물의 경솔함을 잘 드러낸다. 그의 리액션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에 비해 과도하다. “좋은 아들”로 그려지는 극렬(장률)이라는 인물은 성가실 정도로 1차원적이라 전우성 작가, 최병윤 작가, 곽재민 작가는 이 인물을 그리는 데 조금 더 많은 시간을 쏟았어야 했다. 그가 해내야 했던 일들을 감안할 때, 장률은 관객들이 그가 다시 지하실로 던져지는 걸 보고 기뻐할 만큼 상황을 잊어버린 캐릭터를 상당히 인상적으로 연기했다. 

 

The film is well edited and the score by Ji-soo Lee is unobtrusive and adds to the drama. The biggest problem with this showing is the film was cut in half, showing only the first three episodes. This was frustrating as the film is strong enough to draw the viewer in and make them want to see our protagonists escape. 


영화의 편집이 좋고 이지수의 음악도 극에 몰입감을 더한다. 이번 상영의 가장 큰 문제는 영화가 반으로 잘려 첫 3개의 에피소드만 상영되었다는 사실이다. 관객들을 몰입시키고 등장 인물들이 그곳에서 탈출하는 모습을 보고 싶게 만들었으니, 일부분만 상영된 것은 실망스러운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