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Adventure of Sunny Yun

Sunny Yun의 꿈과 모험

  At the age of 50 and mother of an 18-year old son going to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I made up my mind that it was time to take that big step into the adventure of my dreams, and to write a new chapter in my life: to have the experience of satisfying my long time curiosity about living abroad and on the ocean.

  I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climate crisis since I started homeschooling my son and some neighborhood children his age more than a decade ago. Then, I took the children outside to experience nature, the mountains and rivers. How long until all this could only be seen in virtual reality?

  Sadly my fears have become reality. On a rainy day recently, at the the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the Sangjubo, I heard a nature guide telling students about the birds which used to visit and live around the river in Sangju area, but are now gone. I stood outside and cried.

  I gave up eating meat and fish about eight years ago. About the same time I sold my car. South Korea is one of the most convenient countries to get around anywhere easily using only public transportation. Our lack of awareness, our greedy selfishness for all that is “convenient,” and our constant desire to be comfortable is killing the earth and we will go along with it.

  Global warming is happening quickly, and the sea level has risen faster than usual. As dry land is less than 30% of the earth's surface, I thought what should I do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My answer was to look aboard and to learn to cooperate with the oceans.

  나이 50, 아들이 대학을 입학하고 나의 오랜 호기심이었던 항해와 선상에서의 삶의 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한 내 인생의 새로운 장을 열 때가 왔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로 결심했다.

  기후 변화와 지구온난화는 아들과 또래의 동네 아이들을 홈스쿨링하기 시작하면서 나의 우려와 관심이 되었다. 아이들을 들로 강으로 데리고 다니면서 어린이들의 아름다운 자연적 놀이터가 파괴되고 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되었다. 난 곧 우리 아이들이 이러한 철새들과 식물들을 도감이나 박물관에서만 접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슬프게도, 내 예상이 맞았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상주보 옆에 건립되었다. 비가 오던 어느 날, 우연히 학생들을 향해 어떤 조류들이 낙동강에 살았었고 찾아왔었는지를 설명하는 강사선생님의 메아리를 들으며 빗속에서 한동안 눈물을 멈추지 못했었다.

  8, 9년 전, 난 육류와 어류 섭취를 포기했다. 그와 동시에, 난 아이들을 싣고 들로 강으로 다니던 내 차를 8년 전에 팔아버렸다. 한국은 대중교통만으로도 어디든 쉽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이런 훌륭한 대중교통 시스템이 구축된 나라에서 보험, 연료 및 주차비용을 부담하며 자동차를 몰고 다녔던 내 이전의 생활방식을 돌아보면 지금의 선택이 매우 만족스럽다.

  또한, 지구온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오고 있고 해수면이 점점 더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자료들을 통해 접해오고 있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가 살 수 있는 공간이 육지 보다는 바다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만약 이것이 현실이 되었을 때, 이런 환경에 적응하여 살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나의 답은 선상에서 살고 바다와 타협하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I met a group of people who were delivering the boat “Alabama” to Busan, and was invited aboard. They appreciated unprocessed organic foods, and were willing to get their hands dirty with good honest hard work. Their life on board was very close to what I had dreamed of. So I decided to live with them for a month, within one of the Alabama’s eight cabins. I did not get seasick, and I felt safer than within my daily life outside the boat.

  I heard the news that Marcello, one of Alabama delivery members, had bought a boat in Auckland, New Zealand, and his boat was in the small northern city of Whangarei. I messaged him, asking him to make me a sailor. Without really knowing what I was supposed to experience, I wrapped up everything in my life in Korea, and I finally flew to New Zealand.

  ‘알라바마’라는 배를 남태평양섬 ‘피지’에서 부산으로 가져온 친구들을 부산에서 만났고 그 배로 초대를 받았다. 그들은 가공되지 않은 유기농 음식을 선호하였고 손이 많이 가고 힘쓰는 일이 몸에 배어 있었다. 선상에서의 그들의 삶은 내가 꿈꿔오던 삶과 매우 비슷했다. 그리고 알라바마의 8개의 방 중 한 개는 곧 나의 것이 되었고 그들과 한 달간 함께 살아보기로 결심했다. 난 다행히 뱃멀미도 없었고 배 밖에서보다 배 안의 삶이 더 안전하게 느껴졌다.

  알라바마 선원 중 한 명인 마르첼로가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배를 구입해 그의 배가 황거레이에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에게 날 항해사로 만들어 달라고 메시지를 보냈고 내 앞에 무슨 일이 펼쳐질지 전혀 예상치 못한 체 뉴질랜드로 모든 것을 정리하고 날아갔다.     



  His boat was a rusty, poorly built steel boat, constructed by an amateur. When I first arrived, I didn’t care about the problems that he had with the boat, because I was so eager to learn to sail. However, other sailors in the boatyard shared their sincere concern about his boat’s unsafe condition.

  As captain, Marcello was a tough taskmaster. To me, he was a great sailor, but not a good teacher. I felt glad that he had Miriam, a German solo traveler, and his girlfriend at that time, sailing with us. She was very patient and kind enough to explain everything that I needed to know, such as how much I should be mindful about using water for drinking and washing, knowing where to sit so as to not to be in the way of the captain and other crew members, knotting, cooking, baking, rowing the dinghy, using a bathroom, swimming, and even organizing and cleaning the boat while sailing and anchoring.

  But after Miriam left NZ, the physical hardship started for me. I had to learn to helm the yacht carefully throughout a long night under stormy, cloudy skies, taking turns with serious Captain Marcello. What made it worse is that I had had no experience of steering boats ever in my life before.

  The yacht Iron Lady was built in 1986, and so by the time I met her and Marcello in 2018, it was full of rust inside and out. Neither of us realized just how bad its condition was until it was hauled out of the water.

  In order to prepare Iron Lady for island hopping in the South Pacific, we eventually had to fix her up. We hauled her out in early January and Marcello told me we would go back to water in March.

  Since Marcello didn’t have money to hire anyone to weld and buy machines and tools to fix the boat, he socialized and helped others who had the skills and the tools. Since I was the only female who was working on the boat at a boatyard, many people there paid attention to us. I got to meet many great captains of different types of boats and I learnt navigating, trimming, knotting, steering with a tiller, anchoring and more, whenever I went sailing on different boats. I was privileged enough to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ocean sports and the leisure that each captain enjoys as well.

  그의 배는 아마추어가 허술하게 건조한 녹이 많이 슨 쇠로 만들어진 배였다. 내가 처음 도착했을 당시, 주변 다른 선원들이 마르첼로 배의 위험한 상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는데도 불구하고 항해하는 것을 배우겠다는 강한 일념으로 그를 믿었던 난 그런 문제들에 크게 개의치 않았다.

  선장으로서 마르첼로는 엄격했고 내게 그는 훌륭한 항해사였으나 내가 기대했던 인내심 많은 그런 스승은 아니었다. 그 당시, 독일 솔로 여행가이며 그의 여자친구였던 미리암이 우리와 함께 항해함으로써 난 그녀에게서 오히려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미리암은 인내심을 가지고 친절하게 내가 알아야 할 모든 것, 즉, 선상에서 마시고 씻기 위해 사용하는 물의 절수, 선장과 다른 선원들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는 자리 착석, 로프 매듭, 조리, 제빵, 작은 배로 노를 저어 뭍으로 가는 법, 화장실 사용법, 바다수영과과 항해 및 정박 시, 선실을 정리하고 청소하는 방법 등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미리암이 뉴질랜드를 떠나자 본격적인 육체적 고통이 시작되었다. 폭풍우 몰아치는 구름으로 뒤덮인 하늘 아래, 엄격한 마르첼로와 밤새도록 교대하며 배의 키를 잡고 조종하는 것을 배워야 했다. 문제는 이전에 난 단 한 번도 배를 조종해 본 경험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 요트, ‘철의 여인(Iron Lady)’은 1986년에 건조되었고 2018년에 내가 만난 그녀는 녹으로 뒤덮여있었다. 물 밖으로 그녀를 끄집어 내기 전까지는 그녀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 지 어느 누구도 정확히 알지 못했다.

  항해만 하며 항해하는 것을 배울 것이라고 생각했던 나의 예상을 깨는 일이 벌어졌다. 선택의 여지없이 철의 여인을 바다에서 끌어올려 수리하는 작업이었다. 1월 초 그녀를 선박 작업장으로 끌어올렸고 마르첼로는 3월이면 다시 바다로 돌아갈 것이라고 했다.

  마르첼로는 용접을 할 사람을 고용하거나 선박 수리용 장비를 살 수 있는 자본이 없어 그러한 기술과 장비를 가진 사람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면서 친분을 쌓았다. 선박 작업장에서 선박수리작업을 하는 유일한 여성인 관계로 우린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난 많은 다른 종류의 요트를 소유한 훌륭한 선장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난 그들에게서 항해하는 법, 매듭 만드는 법, 수동 키를 조종하는 법, 닻을 내리는 법 등을 배웠다. 각 선장들이 즐기는 해상스포츠와 취미들도 함께 경험하는 특권을 누리기도 했다.



  Later on, we delayed the departure of Iron Lady again until June, and I could not wait that long. I started to look for a different boat to make the long trip up to the South Pacific Islands, particularly Vanuatu. I had tasted the natural rich organic cacao beans from Vanuatu on the Alabama. I had heard the story of the sustainable community and life on the island of ni-Vanuatu. Since then, I had wanted to visit to see it with my own eyes and learn from them.

  철의 여인의 출항예정일은 6월로 미루어졌고 난 그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다. 그래서, 남태평양섬 특히, 바누아투까지 긴 항해를 할 수 있을 다른 배를 찾기 시작했다. 알라바마 선실에서 바누아투에서 가져온 자연적으로 발효시켜 오염되지 않은 카카오 콩을 맛보았었다. 그리고 바누아투 섬사람들의 지속가능한 공동체 생활과 그들의 건강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 때부터 난 직접 그들의 삶을 내 눈으로 확인하고 경험하며 배우기 위해 바누아투로 가보고 싶었다.  


  Finally, on April 23rd, 2019 I started the journey to cross 1,731kms of the South Pacific Ocean starting from Opua, NZ, and arrived in Aneityum, Vanuatu on the 1st of May. I traveled on the KAMA, a German 12.5 meter fiberglass ketch, a private sailing boat.

  드디어 4월 23일 뉴질랜드, 오푸아를 출발하여 1,731킬로미터의 남태평양을 가로질러 5월 1일 바누아투, 아네이튬에 도착했다. 12.5미터 길이의 ‘카마’라는 이름의 독일산 요트로 항해하였다.  


  Before I left Korea, I had heard the people ni-Vanuatu were down to earth, and living sustainably. From 5-year old children to the elders, men and women each carried a machete, or a big long knife. Interestingly, their vegetable gardens are usually located on the higher areas of the mountain, away from their houses. They hike up the mountain three times a week to harvest food for their families and they carry only a machete and a small handwoven banana leaf basket. They catch just the right amount of reef fish for their family in the late afternoon, just before sunset to cook dinner.

  At around 4:30 every morning, they get up, set a fire in the kitchen under the dim light, crack open one dried coconut, and scrape its fresh meat into a big mixing bowl. They also peel and chop taros and fat green bananas, put them in a big pot, and then add some salt and water. While the taros are boiling, they add warm water to the scraped coconut meat and squeeze the milk into the boiling mix. Meanwhile, on a frying pan with no handle, they’d crack one fresh healthy egg just laid by the happiest hen in the world that had been freely running and even flying around. That one cooked egg was shared between two people. To wash, they fill up a small bucket of cold water from a tap near the kitchen and carry it to the outdoor shower booth. After washing, they apply coconut oil from head to toe. In the day, they seemed to use every possible muscle and were capable of any physical challenge. I was always in awe of their well-developed arm and leg muscle tone.

  I think it was our treasured gift, to grow natural foods in rich soils, to cook simply over an open fire, for a healthy body to be productive, to live within the rich cycle of nature and living life sharing harmoniously with other living creatures. Unfortunately, we are losing this simple, honest, pure, healthy, balanced and normal life, and we are living a life where people who are trying their best to find and pursue this type of life are considered abnormal.

  한국을 떠나기 전에 들었던 대로, 바누아투 사람들은 성실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살고 있었다. 5살 어린이들부터 어른들, 남성, 여성 상관없이 모두 벌채용 긴 칼을 한 손에 들고 다녔다. 흥미롭게도 텃밭들이 자신의 집과 떨어진 산꼭대기나 높은 지대에 위치해 있었고 일주일에 세 번 정도 벌채용 긴 칼과 바나나 잎으로 짠 바구니만을 들고 산으로 올라가 가족과 먹을 식량을 수확했다. 해가 저물기 전 늦은 오후에 가족과 저녁으로 먹을 물고기를 그 날 먹을 만큼만 잡는다.

  매일 아침 4시 30분경이면 기상하여 부엌 어두침침한 불빛아래에서 불을 지핀다. 겉이 딱딱하게 마른 코코넛 한 개를 반으로 깨서 큰 양푼이를 아래에 두고 ‘스크래퍼’라는 칼로 코코넛 과육을 간다. 뿌리채소와 통통한 초록색 바나나의 껍질을 벗기고 잘라 솥에 넣어 끓이고 그 동안에 갈아놓은 코코넛 과육에 따뜻한 물을 부어 짜서 만든 코코넛 밀크를 끓는 채소와 바나나에 첨가하고 소금으로 간한다. 손잡이가 사라지고 없는 프라이팬 위에는 세상에서 아마 가장 행복하고 자유로운 암탉이 낳은 달걀 한 알을 찾아 깨서 굽고 이를 가족이 나누어 먹는다. 부엌 옆 수도꼭지에서 찬물을 작은 양동이에 받아 야외 샤워부스에 들고 가서 그 물로 샤워를 한다. 샤워 후, 머리에서 발끝까지 코코넛오일을 바른다. 그들은 인체의 모든 근육과 인간의 신체적 기능을 충분히 이용하고 있는 듯했다. 난 그들의 잘 발달된 팔 다리 근육에 늘 감탄하였다.

  건강을 위해 기름진 땅에 자연적인 식량을 기르고 땔감을 때워 요리하고 섭생하며 다양한 생태계 속에서 다른 생명체들과 조화로운 삶을 나누며 사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불행히도, 우린 단순, 정직하고 순수하며 건강하고 조화로운, 이런 정상적인 삶을 잃어가고 있다. 우린 이러한 삶의 방식을 다시 찾고 따라가 보려고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유별나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기게 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However, I also saw that even ni-Vanuatu are changing because of foreign influence. Western missionaries brought Christianity and Wester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to the islands. And parents started to send their children to this French school or that English school. Along with religion and education, Western and Chinese businesses with their corporate products and consumer cultures have come and rapidly polluted the islands as well as the Islanders’ cultures and traditions. Telstar Jimmy, one ni-Vanuatu poet and activist, wrote about her country and her concerns:

  그러나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바누아투 섬 주민들의 삶조차도 변하고 있었다. 서구 선교사들이 종교와 서구 교육 및 문화를 섬으로 들여왔고 부모들은 자녀들을 프랑스어 학교나 영어 학교로 보내기 시작했다. 종교와 교육에 이어, 서구 및 중국 기업들이 그들의 상품을 들여왔고 그후로 바누아투 역시 환경오염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그 섬의 문화 전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바누아투 출신 시인이며 사회운동가인 Telstar Jimmy가 시를 통해 그녀의 조국과 근심거리를 표현하고 있다: 


Question 


I love my home beside the sea  

But realize the waves coming further

Up my knees,

And therefore I question...

Will I leave my home behind?

My cultural tradition so refined?


I love my food from the ocean 

But realize they are getting fewer in portion

And therefore I question

Will my meals vanish by dawn?

My main source of income gone?


I love my local produce in the garden

But realize droughts are making them harden

And therefore I question

Will my fields be compromised?

My nourishment balance all revised?


I love my island so beautiful

But realize it is sinking in ways so crucial

And therefore I question...

Will I lose all my land?

My heritage on which I proudly stand?


I love my village all so close

But realize cyclones destroy them

under my nose

And therefore I question

will I ever be really safe?

My families continually hiding in a cave?   

 

So many questions are whirling in my mind 

That way before, were not there to find

So many changes trouble my mind

It is so evident that I can hardly be blind. 

난 의문스럽다.


난 해변의 내 집을 사랑한다.

그러나 파도가 내 무릎 위로

점점 차오르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의문스럽다.

내 문화적 전통이 응집된

내 집을 이러다 떠나게 될 것인가?


난 바다에서 난 음식을 사랑한다.

그러나 그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의문스럽다.

새벽녘 내 양식이 사라질까?

내 주요 수입원을 잃게 되지나 않을까?


난 내 지역 텃밭에서 자란 농산물을 사랑한다.

그러나 가뭄으로 땅이 메마르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난 의문스럽다.

내 밭들이 위태로워지지는 않을까?

내 영양분 균형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난 너무나 아름다운 내 섬을 사랑한다.

그러나 섬이 가라앉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낀다.

그래서 난 의문스럽다.

내가 이렇게 자랑스럽게 서있는 나의 유산

내 땅을 잃게 되지나 않을까?


난 정이 넘치는 내 마을을 사랑한다.

그러나 태풍으로 마을이 내 눈앞에서

파괴되는 것을 본다.

 

그래서 난 의문스럽다. 

내가 정말 안전할 것인가?

내 가족들이 굴속에 매번 숨어있어야 할 것인가?   

 

너무나 많은 질문들이

내 마음 속에서 소용돌이친다.

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너무나 많은 변화가 내 마음을 힘들게 한다.

내가 모른 체 할 수 없을 것이 분명하다.    


  I came back to Korea in the middle of the journey to reunite with my family, and, because I needed a break to recover my weakened body. I am going back out there to be a skipper and master, to sail and live aboard, on the water. Someday in the not so distant future, I hope I will be able to share my sailing skills and experiences with youth and women on my own boat. The journey doesn't stop! 

  이 항해 여정 중, 가족과 재회하고 지친 몸을 회복하기 위해 잠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다시 바다로 돌아가 선장이 되어 항해와 선상에서의 삶을 완성하려고 한다. 미래의 내 요트에서 청소년들과 여성들에게 나의 항해술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Contributing Writer l Sunny Yun   

  Sunny was born in Korea, though prefers to introduce herself as an earthling, rather than Korean. She dreams of the boundless world, just like migratory birds seem to view and fly freely from continent to continent. She would like to appreciate and respect every part of the world without involving nationalism.

  써니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스스로 “지구인”이라고 불려지는 것을 선호한다. 그녀는 대륙과 대륙 사이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자유로운 새들처럼 끝없는 세상을 여행하기를 꿈꾸며, 편견 없이 만물에 감사와 존경을 표한다.
1 likes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