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Movie & Festivals

I love your honesty when you lie much Review of “Bardo, False chronicle of a handful of truths”

거짓을 말할 때의 네 진실함을 사랑해 “바르도, 약간의 진실을 섞은 거짓된 연대기” 리뷰

“바르도”는 그의 마스터인 “8과 1/2”에 신실하다. 즉, 엔딩은 꼭 펠리니의 영화 같은데, 특히 개념과 의미적 측면에서 그러하다. 실베리오의 꿈 같은 삶의 사막으로 온 가족이 모인다. 이 고무적인 장면은 인간이 가진 깊은 의미는 반복 가능하며, 우리가 갈망하는 진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칼 구스타프 융이 20세기 문명의 환영을 언급한 이래

I love your honesty when you lie much Review of “Bardo, False

chronicle of a handful of truths”

 

거짓을 말할 때의 네 진실함을 사랑해 “바르도, 약간의 진실을 섞은 거짓된 연대기” 리뷰


A shadow [of a man] tries to fly and he can’t make it, for something (or someone) bound him to the earth. At first, this scene can remind you of Fellini’s “Eight and a half”, but it is how I describe the opening scene of “Bardo, False chronicle of a handful of truths”, by Alejandro Gonzalez Inarritu. I watched the film as a critic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t the CGV theater in 2022.


“Bardo” is the most lying movie I’ve ever seen. Because of all the false short stories (sequences), it has different levels of lying. Inarritu as always chose the right form for the content he is projecting  in his movie. Also, he perfectly added some sauce to this main dish to make the audience enjoy  watching his self-reflection on the silver screen.


The narrative of “Bardo” emphasizes that he is a liar. But as we know from the history of cinema, we’re going to love such a narrative if it can lie honestly! Here, the question is how is it possible, to be honest, and also a liar?


[한 남자의] 그림자가 날아오르려 하지만, 그는 자신을 땅에 붙들어두는 무언가(혹은 누군가)로 안해 성공하지 못한다. 첫눈에 보기에 펠리니의 “8과 1/2”이 떠오를 수도 있지만, 사실은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바르도, 약간의 진실을 섞은 거짓된 연대기”의 오프닝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나는 2022년 부산국제영화제 CGV 극장에서 비평가로서 이 작품을 보았다.

 

“바르도”는 내가 본 영화 중 가장 많은 거짓을 말한다. 이 모든 거짓 이야기들(시퀀스) 때문에 영화는 차원이 다른 거짓말을 보여준다. 이냐리투 감독은 언제나처럼 영화에서 그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가장 잘 담아낼 수 있는 형식을 골랐다. 게다가 관객들로 하여금 스크린 위에 드러나는 그의 자화상을 더욱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메인 디쉬에 몇 가지 소스를 완벽하게 곁들였다.


“바르도”의 서사는 그가 거짓말쟁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우리가 영화의 역사를 통틀어 알다시피, 그것이 정직한 거짓말이라면 우리는 그 이야기를 사랑하게 될 것이다! 이제 궁금증이 생길 것이다. 어떻게 정직한 동시에 거짓말쟁이가 될 수 있을까?


First of all, we know there is just the illusion of motion in cinema. Fundamentally, there is no motion  in the frames of a film. What causes the motion is a machine that shows 24 still photos in a second to us; because of a process in our visual system, we believe the lie that there are movements in a film. This is the first lie that films are approved to tell us, but not the last one! After many different achievements in cinema by experimenting and experiencing not only the potential of cinema in the 20th century but only the way of living, we know more about the lies cinema can tell us. Because of improving surreal narratives in movies by great filmmakers, especially Luis Bunuel, now we simply accept unreliable narrators in movies; narrators who can tell us some short stories, after a while, we’ll find out all the stories weren’t true; but is it true? The main question is, what makes us determine whether a story is true or not? If it is about taking place in a human being’s life and/or being experienced by a human, the next question will be:


Haven’t we experienced our dreams or haven’t they taken place in our lives?


Of course, they have. As Andre Breton said in the first manifest of Surrealism in 1924, it is not fair we don’t pay attention to the events in our sleeping world as much as we are focused on our routine events in the time we are awake; because in the calculation of their time spent, they should be of equal importance. Based on this theory, Inarritu shows us uncountable worlds that Silverio (Daniel Gimenez Cacho) is experiencing in this period of his life, and tries to fade the borderline of reality and fantasy for the audience who is experiencing Silverio’s life on the screen. Inarritu uses the techniques known in cinema to make a surreal atmosphere in his movie; for example, using long take shots can vanish the borderlin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and he uses this technique to blur  this borderline in Silverio’s world.


무엇보다 우리는 영화 속에는 움직임이라는 착각이 존재할 뿐이라는 걸 안다. 움직임은 그저 초당 24장의 정지사진을 보여주는 기계의 힘으로 만들어진다. 우리 시각 시스템은 이것을 보고 영화 속에 움직임이 있다고 믿는다. 이것은 영화가 우리에게 할 수 있는 첫 번째 거짓말이다. 단, 거짓은 이뿐만이 아니다! 20세기 영화의 잠재력과 우리 삶의 방식을 실험하고 경험함으로써 수많은 성과를 거둔 후, 우리는 영화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거짓말보다 더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루이스 브뉘엘과 같은 훌륭한 영화제작자들이 영화의 초현실주의 서사를 발전시킨 덕에, 오늘날 우리는 신뢰할 수 없는 영화 속 화자들을 쉽게 받아들이게 되었다. 화자들은 우리에게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얼마 후 우리는 그 이야기들이 모두 거짓이었음을 알게 된다. 하지만 이건 진실일까?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무엇이 우리로 하여금 어떤 이야기가 진실인지 아닌지 판단하게 하는가? 인간의 삶에서 일어나는 일이거나 인간에 의해 경험되는 것일 때, 또는 둘 모두일 때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면  다음 질문은 이것이다.:


우리도 꿈을 꾸지 않는가? 또는, 꿈도 결국 우리 삶에 일어나는 일이지 않은가?


물론 그러하다. 1924년 앙드레 브레통이 첫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말했듯, 깨어있는 시간 동안 일상에 집중하는 것만큼 꿈 속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은 불공평하다. 우리가 쏟는 시간의 양을 보면 둘은 똑같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 이론에 따라 이냐리투 감독은 실베리오(다니엘 지메네스 카초)가 이 시기 그의 삶의 경험과, 스크린을 통해 그의 삶을 경험하는 관객을 위해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그의 노력을 담은 수많은 세계를 구현했다. 감독은 이 영화에서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영화기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롱테이크 샷을 이용하면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 수 있는데, 감독은 이 기법을 이용해 실베리오의 세계에서 이 경계를 흐리게 한다.



The second lie cinema could tell us easily and professionally, is editing. Film editing as a technical part of a film has dealt with many issues and has been connected to technological improvements. But editing as an aesthetics approach in movies, from the beginning, was a way of telling lies! The term “Cut” means we cannot see what happened in the time removed from the recorded shot and the filmmaker intends to convince us there is a time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shots (the cut shot and the next shot). That means films have tried to make the illusion of time connectivity, after the success in making the first illusion (of motion). Therefore, we have editing as a great lie that Inarritu applied  different approaches to  in his movies. For example, he tries to use editing to make connections between events that happened at different times, as an illusionist in Amores Perros (2000), and in 21 Grams (2003). He also tries to use a long take shot, to be honest in storytelling in Birdman (2014), and we know it was another illusionist trick in that movie too.


Inarritu uses techniques known in cinema to make the atmosphere of his movie surreal and close to the audience. Using long takes can vanish the borderlin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when they are used in a sequence where there are real and fantasy events together. For example, when the film moves continuously in the house in different rooms which have different times of Silverio’s life in a one long take shot. Another technique already mentioned is editing. Editing in this movie cannot help the development of the approach of being surreal. Cuts in the middle of a long take shot only to have match cuts is only an amateur use of the benefits of editing in cinema. To understand the good parts and the bad parts of using editing in this movie, we can just focus on the cuts between the sequences; a sudden cut enters us into a world we didn’t know we could  be  in in this moment, and by this kind of surprise, the movie gives us the energy to experience the next scene. It is done well in “Bardo”, but choosing the style of cinematography (using fisheye lenses) doesn’t fit the normal match-cuts in the middle of a sequence.


영화가 쉽고도 전문적으로 우리에게 거짓을 말할 수 있는 두 번째 방법은 편집이다. 영화의 기술적 부분으로서의 편집은 여러 이슈를 다루며 기술적 발전과 연결되어 왔다. 하지만 영화 속 미학적 접근으로서의 편집은 처음부터 우리에게 거짓을 말하기 위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컷”이라는 용어는 녹화된 장면에서 잘려나간 시간 동안 일어난 일들은 우리가 볼 수 없으며, 영화제작자들은 우리로 하여금 이 두 장면(컷으로 잘린 장면과 다음 잘면)이 시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믿도록 한다. 즉, 영화는 첫 번째 (움직임의) 환상을 성공적으로 창조해낸 후, 시간 연속성의 환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대한 거짓말로서의 편집을 통해 이냐리투 감독의 영화들에서 여러 접근법을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독은 Amores Perros(2000)와 21 Grams(2003)라는 작품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에 일어난 사건들을 연결하기 위해 편집을 사용한다. 버드맨(2014)에서는 스토리텔링에 진정성을 더하기 위해 또 다른 영화 속 환상을 만들어내는 장치인 롱테이크 샷을 이용했다. 


감독은 영화에 초현실주의적 감각을 불어넣고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영화 기법들을 이용한다. 롱테이크를 이용해 현실과 판타지가 공존하는 시퀀스에서 둘의 경계를 없앤다. 이를 테면 실베리오의 삶 중 각기 다른 시간대에 일어난 일들을 동일한 집 내부에 있는 각각의 방에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 또 다른 기법은 편집이다. 이 영화의 편집은 초현실적 접근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롱테이크 샷 중간에 컷을 삽입하는 것은 영화 편집 기술을 아마추어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 작품에 사용된 편집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이해하려면 시퀀스들 사이에 있는 컷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컷은 우리가 몰랐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하고, 영화는 놀라움과 함께 순간을 경험하는 우리에게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수 있는 힘을 준다. “바르도”에서도 이 기법이 사용되지만, 선택된 촬영 방식(어안 렌즈를 이용하는)은 시퀀스 중간의 일반적인 매치컷과 어울리지 않는다.




“Bardo” is all about “life, birth, and death”; So it focuses on the main symbol of life in dreams: water. After the opening scene and exposing the tone of the movie’s sense of humor in a scene in which a baby, in the moment of its birth, wants to go back to its mother’s body, we are guided to the water! The main character (Silverio) is floating in the currents of his life,so, we see a short scene of floating on a train, like a pool. 


Of course, the film is another tribute to Fellini’s masterpieces such as  All that Jazz (1979), Nine (2009), Hamoun (1989), and Pain and Glory (2019). But it is also in  Inarritu’s style, just as much as “Eight and a half” was like Fellini at the time, and “Pain and Glory” was about Almadovar.


“Bardo” is faithful to his master “Eight and a Half”. So, the ending is like Fellini’s movie, especially in the concept and the meaning; all the family gathered around in the desert of Silverio’s dreamy living. Indeed, this inspiring scene shows us the deep meanings of human beings are repeatable, and the desired evolution has not happened yet. As Carl Gustav Jung talked about the illusion of civilization in the 20th century, we know that idea is just covering human desires, and shows him that he was on the wrong road. And still, the problem has  not been solved. Now, 60 years after “Eight and a half”, only one thing has happened to us, and it is our knowledge about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unsolvable problems of human beings.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Bardo” guides us to think about it.


“바르도”는 “삶, 탄생, 죽음”에 관한 모든 것을 다룬다. 그렇기에 영화는 꿈 속에서 삶의 주요 상징인 물에 초점을 맞춘다. 영화는 오프닝 장면과, 태어나는 아기가 엄마의 뱃속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하는 장면에서 유머를 곁들이며 우리를 물로 인도한다! 주인공(실베리오)은 삶의 해류 위를 떠다닌다. 즉, 우리는 마치 수영장처럼 떠 있는 일련의 짧은 장면들을 본다.


물론 영화는 “올 댓 재즈” (1979), 나인 (2009), 하문 (1989), 페인 앤 글로리 (2019)와 같은 펠리니의 걸작에 대한 또 하나의 찬사다. 하지만 이냐리투 감독의 “8과 1/2”은 당시 펠리니의 작품과 닮아있었고, “페인 앤 글로리”는 Almadovar와 비슷하다.


“바르도”는 그의 마스터인 “8과 1/2”에 신실하다. 즉, 엔딩은 꼭 펠리니의 영화 같은데, 특히 개념과 의미적 측면에서 그러하다. 실베리오의 꿈 같은 삶의 사막으로 온 가족이 모인다. 이 고무적인 장면은 인간이 가진 깊은 의미는 반복 가능하며, 우리가 갈망하는 진화가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칼 구스타프 융이 20세기 문명의 환영을 언급한 이래로, 우리는 사고란 인간의 욕망을 전환하는 것이며 그가 잘못된 길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을 안다. 그리고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8과 1/2” 이후 60년이 지난 지금, 우리에게 일어난 일은 단 한 가지뿐이다. 풀리지 않는 인류의 문제의 양과 질에 관한 우리의 지식이다. 이것이야말로 “바르도”가 우리로 하여금 생각해보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Movie & Festivals